Terraform

[ 사전적 의믜 ]

Terraforming(테라포밍)은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 및 위성, 기타 천체의 환경을 지구의 대기 및 온도 생태계와 비슷하게 바꾸어 인간이 살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으로 화성탐사 관련해서 종종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하시코프에서 이 제품의 이름을 왜 이렇게 지었을지 생각해보았습니다.

단어 뜻에서 각기 다른 모든 vendor의 인프라 환경을 비슷하게 바꾸어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하는 도구라고 느껴집니다.

 

[ 특징 ]

테라폼은 Chef, Puppet, 과 같이 Infrastructure provisioning 툴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ource: http://blog.shippable.com/the-future-of-devops-is-assembly-lines

The key features of Terraform are:

  • Infrastructure as Code: Infrastructure is described using a high-level configuration syntax. This allows a blueprint of your datacenter to be versioned and treated as you would any other code. Additionally, infrastructure can be shared and re-used.  👉 버전으로 인프라 이력관리, 인프라 공유 및 재사용

  • Execution Plans: Terraform has a "planning" step where it generates an execution plan. The execution plan shows what Terraform will do when you call apply. This lets you avoid any surprises when Terraform manipulates infrastructure. 
    👉 plan 단계를 거치면서 인프라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볼 수 있음

  • Resource Graph: Terraform builds a graph of all your resources, and parallelizes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any non-dependent resources. Because of this, Terraform builds infrastructure as efficiently as possible, and operators get insight into dependencies in their infrastructure. 👉 모든 리소스를 그래프로 작성하고 종속되지 않은 리소스의 추가와 변경을 병렬로 처리해서 효율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각 리소스의 의존성을 확인 할 수 있음

source: https://www.terraform.io/docs/commands/graph.html

  • Change Automation: Complex changesets can be applied to your infrastructure with minimal human interaction. With the previously mentioned execution plan and resource graph, you know exactly what Terraform will change and in what order, avoiding many possible human errors. 👉 terraform plan, 그 결과로 나오는 resource graph로 어떤 순서로 변경이 발생할지 미리 확인할 수 있어서 휴먼에러를 많이 줄일 수 있음

 

[ 버전 관리 ]

다른 패키지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new feature, bug fix등의 작업으로 upgrade 될것이고 그에 따라 맞춰주는 작업이 필요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버전관리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이때 크게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se cases ]

이중에서 제가 Terraform을 선택하려는 이유는

  • Heroku App setup  : -
  • Multi-Tier Applications : API 서버, 캐싱 서버등 추가되는 레이어를 개별적으로 확장
  • Self-Service Clusters : 서비스 구축과 확장한 방법들을 코드화
  • Software Demos : -
  • Disposable Environments : 서비스에 따라서 Dev, Stage 환경을 빠르게 구성해주었다가 폐기
  • Software Defined Networking : AWS VPC 부터 네트워크 구성을 코드화
  • Resource Schedulers : -
  • Multi-Cloud Deployment : 관리를 단순화 시켜 대규모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용이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으로 Opendistro Account 생성하기  (615) 2021.03.17
Cloudfront와 S3를 이용한 웹 서비스 구성  (1938) 2021.03.10
AWS Subnet 생성하기  (2534) 2020.07.23
AWS VPC 생성하기  (893) 2020.07.23
AWS EKS Service Role 생성 (IAM)  (914) 2020.07.23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가끔씩 보고 싶은 정보들을 모아 블로그에서 보고 싶을때 정보를 쫙 모아다가

Tistory의 OpenAPI를 이용해서 올리곤 했었습니다. (가끔이라서 수동으로 함)

 

오늘 오랜만에 좀 보려고 했는데

자꾸 400 Error가 발생하고 이유는 모르겠고.. 뒤져보니 response_type=code 방식을 이용해서 

하라고 하는 것을 보니 뭔가 변경된것 같았습니다.

 

Open API 사용하기 위한 App 등록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검색하면 많이 나와서 넘어갑니다.

 

자세히 Autoriztion Code 방식을 읽어보니 기존에 제가 인증받아서 사용하던 code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code를 가지고 token을 받아서 그 token을 이용해야 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래서 방법은 총 3단계 (기존엔 2단계)

  1. Tistory Login
  2. Authentication code 발급
  3. Access Token 발급

 

확인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해보거나, 뭐가 되었든 코드로 짜서 자동으로 하거나

우선은 수동으로 먼저 확인해봅니다. python3 코드는 이 페이지 하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해본다.

1번 과정 - https://www.tistory.com 로그인한다.

2번 과정 - Autentication Code 발급 받는다.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내용

https://www.tistory.com/oauth/authorize?client_id=app의 ClientID&redirect_uri=리다이렉션 받을 URI&response_type=code  

 

예시(아래 것은 샘플이라 에러페이지 나옴, client_id에 임의의 값을 넣어서 되지 않음, redirection은 내 맘대로함)

https://www.tistory.com/oauth/authorize?client_id=d962867605b93asdfasdfasd6fb96f8cc27568b141c&redirect_uri=sfixer.tistory.com&response_type=code

 

 

 

3. Access Token을 발급 받는다.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내용

www.tistory.com/oauth/access_token?client_id=나의 CLIENT_IDc&client_secret=나의 CLIENT_SECRET&redirect_uri=설정한 redirect uri &code=2번과정에서 받아온 code 정보&grant_type=authorization_code

 

예시 (샘플이라 아무정보나 들어있음, 본인것에 맞게 바꿔야함)

www.tistory.com/oauth/access_token?client_id=ddszxcvzxcv36fb96f8cc27568b141c&client_secret=d962867zxcvzxcvelkasjdflkjasldk51ca867454aac07d9b98bde63553ba3d8a93&redirect_uri=sfixer.tistory.com&code=a1175b123409821093saldjfklasdjflkasdjflke91c5a3dc8b4514268a4e3a066&grant_type=authorization_code

 

 

코드로 구현한다

 

위에 처럼 해도되지만 간단하게 파이썬 코드 몇줄로 3단계 동작을 수행하겠습니다. 

개인정보들은 환경변수에 등록해서 가져와서 썼기때문에 그 부분만 따로 (하드코딩이든 뭐든) 처리해주시면 동작합니다.

테스트까지는 해보았습니다.

물론 아래의 제가 한 코드보다 훨씬 더 간결하게 구현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공유한 이유는 저 처럼 삽질하는 사람을 좀 돕고자 공유했습니다.

 

Python3.8.5을 사용했으며

사용했던 패키지 버전 정보입니다.

  • requests==2.24.0
  • selenium==3.141.0
#!/usr/bin/env python3
import os
import re
from requests import get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hrome.options import Options


# tistory에 로그인을 합니다.
def tistory_login():
    tistory_id = os.environ.get('TISTORY_ID')
    tistory_pw = os.environ.get('TISTORY_PW')
    chromedriver_path = os.environ.get('CHROMEDRIVER_PATH')
    chrome_options = Options()
    chrome_options.add_argument("--headless")  # chrome 띄워서 보려면 주석처리
    driver = webdriver.Chrome(chromedriver_path, options=chrome_options)
    driver.implicitly_wait(3)
    driver.get('https://www.tistory.com/auth/login?redirectUrl=http%3A%2F%2Fwww.tistory.com%2F')
    driver.find_element_by_name('loginId').send_keys(tistory_id)
    driver.find_element_by_name('password').send_keys(tistory_pw)
    driver.find_element_by_xpath('//*[@id="authForm"]/fieldset/button').click()
    return driver


# authentication code 정보를 가져옵니다.
def get_authentication_code(driver, client_id, redirect_url):
    req_url = 'https://www.tistory.com/oauth/authorize?client_id=%s&redirect_uri=%s&response_type=code&state=langoo' % (client_id, redirect_url)
    driver.get(req_url)
    driver.find_element_by_xpath('//*[@id="contents"]/div[4]/button[1]').click()
    redirect_url = driver.current_url
    temp = re.split('code=', redirect_url)
    code = re.split('&state=', temp[1])[0]
    return code


# http://www.tistory.com/guide/api/index
# access token 정보를 가져옵니다.
def get_access_token(code, client_id, client_secret, redirect_url):
    url = 'https://www.tistory.com/oauth/access_token?'
    payload = {'client_id': client_id,
               'client_secret': client_secret,
               'redirect_uri': redirect_url,
               'code': code,
               '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res = get(url, params=payload)
    token = res.text.split('=')[1]
    return token


def main():
    client_id = os.environ.get('TISTORY_CLIENT_ID')
    client_secret = os.environ.get('TISTORY_CLIENT_SECRET')
    redirect_url = os.environ.get('TISTORY_REDIRECT')
    driver = tistory_login()
    code = get_authentication_code(driver, client_id, redirect_url)
    token = get_access_token(code, client_id, client_secret, redirect_url)
    print(token)


if __name__ == '__main__':
    main()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크스의 술 (ビンクスの酒) 번역, 가사  (166) 2023.03.12
Jenkins 사용자 목록 curl로 가져오기  (1003) 2020.12.29
테넌트  (940) 2020.07.23
TCP Status 상태에 대해서  (741) 2020.07.15
TCP 통계수치 변화 (장애 상황)  (1318) 2020.07.15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이번엔 Subnet을 생성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리전에는 Availability Zone이 3개가 있긴한데 

2개의 Zone만 사용해서 private용 2개, public용 2개 총 4개를 생성했습니다.

 

IPv4 CIDR block으로 IP 범위를 지정해주었는데

각 서브넷당 최대 4094개의 host를 할당 해 줄 수 있도록 netmask는 20으로 설정했습니다.

  • 10.3.0.0/20 (10.3.0.1 ~ 10.3.15.254)
  • 10.3.16.0/20 (10.3.16.1 ~ 10.3.31.254)
  • 10.3.32.0/20 (10.3.32.1 ~ 10.3.47.254)
  • 10.3.48.0/20 (10.3.48.1 ~ 10.3.63.254)

Subnet을 생성하고 나면 각 서브넷마다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여분의 개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을 세팅하고 나면 Route Table을 설정합니다. 

 

클릭하고 들어간 후에 할당해줄 subnet을 선택하고 서로 Associate시켜 줍니다.

 

 

그리고 나머지 Route Table은 필요한 경우에 Edit routes를 이용해서 정보를 추가해줍니다.

 

 

IPSec VPN을 이용해서 네트웍 설정을 한 경우에는 위의 메뉴에서 직접 설정이 불가능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자체 설정한 Site-to-Site VPN 설정, 직접 구축한 OpenVPN에 대한 라우팅 설정을 할때 직접 추가 했었습니다.

 

 

나머지 작업은

Public으로 사용하기 위한 subnet에서 사용할 Internet Gateway

Private으로 사용하기 위한 subnet에서 사용할 NAT Gateway

  • 참고로 NAT Gateway 생성할 때는 여기에서 사용할 때는 Associate Elastic IP address를 클릭하면 알아서 EIP를 생성해서 할당해줍니다.
  • NAT Gateway를 삭제 혹은 이미 Associate Elastic IP address를 클릭하고 NAT Gateway 생성을 취소한 경우 EIP가 이미 생성되어 있으므로 release 시켜서 불필요한 비용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설정만 해주면 기본적인 VPC 구성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front와 S3를 이용한 웹 서비스 구성  (1938) 2021.03.10
Hashicorp Terraform (테라폼)  (757) 2020.10.28
AWS VPC 생성하기  (893) 2020.07.23
AWS EKS Service Role 생성 (IAM)  (914) 2020.07.23
AWS EKS Cluster 세팅  (161) 2020.07.23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테넌트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테넌트(tenant): 클라우드 인프라/서비스 제공 방식

  • 싱글 테넌트: 1개 서버에 대해 1개 기업의 데이터, 어플리케이션만 제공
  • 멀티 테넌트: 다른 사용자들과 서버, 스토리지를 공유

싱글과 멀티의 차이는 하드웨어를 공유하는가 안 하는가의 차이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이미지를 같이 보면

독립적으로 구성이 될 수록 Single-Tenant에 가깝고

Multi-Tenant에 가까워 질수록 사용자가 모든 자원을 공유해서 사용합니다.

출처: http://publicstaticmain.blogspot.com/2016/05/multitenancy-with-spring-boot.html

 

멀티테넌시의 장점으로는 비용 절감 입니다. (출처: http://www.itworld.co.kr/news/101255)

그리고 관리상의 이점도 있습니다.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설치된 software에 보안 patch를 하거나 upgrade 하는 경우에도 1곳만 신경써주면 되기때문입니다.


반대로 단점으로는

내부적으로는 각 사용자별로 isolate 시켜야하고, 한곳의 보안이 뚫리게 되면 모든 사용자들의 정보가 다 유출되기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의 비용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이번엔 VPC 생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AWS VPC

  • Virual Private Cloud
  • AWS 사용자가 정의한 전용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생성하기

  • 적절한 이름을 입력하고
  • VPC에서 사용할 IP 주소의 범위를 정합니다.
  • 저는 IPv6는 사용하지 않아서 default인 No IPv6 CIDR Block을 선택했습니다.
  • Tenancy
    • default : 인스턴스가 공유된 하드웨어에서 실행
    • dedicated : 인스턴스가 단일 테넌트 하드웨어에서 실행

 

 

VPC를 생성하고 나면 통신을 위해서

Subnet을 세팅합니다.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icorp Terraform (테라폼)  (757) 2020.10.28
AWS Subnet 생성하기  (2534) 2020.07.23
AWS EKS Service Role 생성 (IAM)  (914) 2020.07.23
AWS EKS Cluster 세팅  (161) 2020.07.23
S3에 SQS notification event 추가할때 권한 설정  (529) 2020.06.26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AWS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는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 IAM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로그인) 및 권한 부여(권한 있음)된 대상을 제어합니다.

Step 1. EKS Cluster용 Role 생성

  • EKS 선택

 

 

  • EKS - Cluster 선택

 

  • 적절히 Tag 설정
  • Role 관련 name 및 description 세팅 

 

  • Create role 하면 Role이 생성됩니다.
  • 이후에는 EKS 메뉴로 가서 Cluster Service Role의 refresh 버튼을 누르면 보이게 되고 선택해주면 됩니다. 

 

이 Role에 추가한 policy를 확인해보겠습니다.

AmazonEKSClusterPolicy(AWS Managed policy)는 4개 서비스의 권한과 1개의 IAM 인증 권한을 허용합니다.

  • AutoScaling
  • EC2
  • ELB
  • KMS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Effect": "Allow",
            "Action": [
                "autoscaling:DescribeAutoScalingGroups",
                "autoscaling:UpdateAutoScalingGroup",
                
                "ec2:AttachVolume",
                "ec2:AuthorizeSecurityGroupIngress",
                
                "ec2:CreateRoute",
                "ec2:CreateSecurityGroup",
                "ec2:CreateTags",
                "ec2:CreateVolume",
                
                "ec2:DeleteRoute",
                "ec2:DeleteSecurityGroup",
                "ec2:DeleteVolume",
                
                "ec2:DescribeInstances",
                "ec2:DescribeRouteTables",
                "ec2:DescribeSecurityGroups",
                "ec2:DescribeSubnets",
                "ec2:DescribeVolumes",
                "ec2:DescribeVolumesModifications",
                "ec2:DescribeVpcs",
                "ec2:DescribeDhcpOptions",
                "ec2:DescribeNetworkInterfaces",
                
                "ec2:DetachVolume",
                
                "ec2:ModifyInstanceAttribute",
                "ec2:ModifyVolume",
                
                "ec2:RevokeSecurityGroupIngress",
                
                "elasticloadbalancing:AddTags",
                "elasticloadbalancing:ApplySecurityGroupsToLoadBalancer",
                "elasticloadbalancing:AttachLoadBalancerToSubnets",
                
                "elasticloadbalancing:ConfigureHealthCheck",
                
                "elasticloadbalancing:CreateListener",
                "elasticloadbalancing:CreateLoadBalancer",
                "elasticloadbalancing:CreateLoadBalancerListeners",
                "elasticloadbalancing:CreateLoadBalancerPolicy",
                "elasticloadbalancing:CreateTargetGroup",
                
                "elasticloadbalancing:DeleteListener",
                "elasticloadbalancing:DeleteLoadBalancer",
                "elasticloadbalancing:DeleteLoadBalancerListeners",
                "elasticloadbalancing:DeleteTargetGroup",
                
                "elasticloadbalancing:DeregisterInstancesFromLoadBalancer",
                "elasticloadbalancing:DeregisterTarget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istener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oadBalancerAttribute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oadBalancerPolicie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oadBalancer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TargetGroupAttribute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TargetGroups",
                "elasticloadbalancing:DescribeTargetHealth",
                
                "elasticloadbalancing:DetachLoadBalancerFromSubnets",
                
                "elasticloadbalancing:ModifyListener",
                "elasticloadbalancing:ModifyLoadBalancerAttributes",
                "elasticloadbalancing:ModifyTargetGroup",
                "elasticloadbalancing:ModifyTargetGroupAttributes",
                
                "elasticloadbalancing:RegisterInstancesWithLoadBalancer",
                "elasticloadbalancing:RegisterTargets",
                
                "elasticloadbalancing:SetLoadBalancerPoliciesForBackendServer",
                "elasticloadbalancing:SetLoadBalancerPoliciesOfListener",
                
                "kms:DescribeKey"
            ],
            "Resource": "*"
        },
        {
            "Effect": "Allow",
            "Action": "iam:CreateServiceLinkedRole",
            "Resource": "*",
            "Condition": {
                "StringLike": {
                    "iam:AWSServiceName": "elasticloadbalancing.amazonaws.com"
                }
            }
        }
    ]
}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ubnet 생성하기  (2534) 2020.07.23
AWS VPC 생성하기  (893) 2020.07.23
AWS EKS Cluster 세팅  (161) 2020.07.23
S3에 SQS notification event 추가할때 권한 설정  (529) 2020.06.26
AWS의 Cloudwatch와 CloudTrail의 차이  (485) 2020.06.01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이번엔 EKS Cluster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Amazon EKS

  • Amazon EKS는 Kubernetes의 Control Plain or Node를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할 필요 없이 AWS에서 Kubernetes를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 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조정 및 관리 자동화를 위한 오픈 소스 시스템입니다.

 

구축하기

Step 1. 클러스터 설정 (Configure cluster)

  • Name과 version을 선택합니다.
  • Cluster Service로 사용할 IAM role을 미리 생성해두고 선택합니다.
  • Tag는 적절하게 추가합니다. (나중에 관리 및 비용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Step 2. 네트워킹 설정 (Specify networking)

VPC(Virtual Private Cloud) 선택

  • 원하는 VPC를 선택합니다.
  • 필요한 경우 새로운 VPC를 생성합니다.

 

Subnet 선택

  • EKS 클러스터를 생성할때는 2개 이상의 서브넷이 필요합니다.
  • 물론 1개의 subnet에 public, private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그렇게 2개 서브넷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 노드를 위치시킬 VPC를 기존 사용하던 곳에 할지 완전히 분리하도록 새로운 VPC를 생성할지 결정한 후에 선택합니다.
  • Endpoint Access 인 경우는 Private으로 설정하면 local pc에서 kubectl 설정하여 접근할때 아래의 문제로 인해서 추가적인 네트웍 설정이 필요합니다.
    •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dial tcp 172.xx.xxx.xx:443: i/o timeout

 

 

나머지는 로깅 할지 여부 설정, 그리고 review 이후에 생성하면 됩니다.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PC 생성하기  (893) 2020.07.23
AWS EKS Service Role 생성 (IAM)  (914) 2020.07.23
S3에 SQS notification event 추가할때 권한 설정  (529) 2020.06.26
AWS의 Cloudwatch와 CloudTrail의 차이  (485) 2020.06.01
Route53 DNS health check (for Nginx)  (302) 2019.12.20

안녕하세요 쿤드입니다. 🍀

RFC 793에 나와있는 상태도를 바탕으로 하나씩 따라가면서 확인하면 보입니다.

python2로 구현된 간단한 tcp client/server 코드와 함께 확인해보겠습니다.

 

* TCB: Transmission Control Block


 

ESTABLISHED까지는 1가지 경우인데
종료할때는 2가지 case로 나뉩니다. RFC793 Link

  • Normal Close(일반 종료): FIN-WAIT-1 ➡️ FIN-WAIT-2 ➡️ TIME-WAIT
  • Simultaneous close(동시 종료): FIN-WAIT-1 ➡️ CLOSING ➡️ TIME-WAIT
일반 종료 
- 어느 한쪽에서 종료하기 위해 FIN을 날린 경우
동시 종료
- Clinet, Server 양쪽에서 동시에 FIN을 날린 경우

Python Code로 테스트 (Code link)

Server Client

 

Server쪽에서 일반 종료인 경우 netstat으로 확인해서 보았습니다.

 

Server에서 socket() 열고, bind()하고 listen() 함수 호출해서 Listening을 하면

  tcp        0      0 0.0.0.0:9999            0.0.0.0:*               LISTEN      8268/python          off (0.00/0/0)

 

Client에서

connect() 호출하면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ESTABLISHED 8268/python          off (0.00/0/0)

 

send(), recv() 호출 이후 종료
  tcp        0      1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FIN_WAIT1   -                    on (0.17/0/0)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FIN_WAIT2   -                    timewait (8.99/0/0)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FIN_WAIT2   -                    timewait (7.97/0/0)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TIME_WAIT   -                    timewait (59.90/0/0)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TIME_WAIT   -                    timewait (58.88/0/0)
  tcp        0      0 SERVER_IP:9999      CLIENT_IP:36391     TIME_WAIT   -                    timewait (57.86/0/0)


CLOSE_WAIT 상태는 상태도만 봤을때 이해가 잘 안가서 Server/Receiver 쪽에서 억지로 재현해보았습니다.

  • Client/Sender에서 ESTABLISHED 이후에 data를 보냄
  • Server/Receiver에서 'ACK!' 라고 응답 (60sec 대기)
  • Client/Sender에서 data를 보냄
  • Server/Receiver는 여저히 sleep으로 대기상태
# 서버쪽 응답하는 thread 코드
def handle_client_connection(client_socket):
    while True:
        request = client_socket.recv(1024)
        print 'Received {}'.format(request)
        print 'send ack & sleep'
        try:
            client_socket.send('ACK!')
            time.sleep(60)  # <--- 여기서 막음 
        except socket.error as error:
            break
    client_socket.close()
  • 이때 Client/Sender는 응답을 못 받아서 대기중인 상태인데 강제로 종료 (Ctrl + C, KeyboardInterrupt)

 

이렇게 하는 경우 또 다른 client에서 붙고 마찬가지로 멈춰버린 상태에서 client process 강제 종료


tcp        0      0 0.0.0.0:9999            0.0.0.0:*               LISTEN      17043/python         off (0.00/0/0)
tcp       54      0 SERVER_IP:9999      CLIENT1_IP:39099     CLOSE_WAIT  17043/python         off (0.00/0/0)
tcp       54      0 SERVER_IP:9999      CLIENT2_IP:47657      CLOSE_WAIT  17043/python         off (0.00/0/0)

 

이 예시에서는 sleep 60으로 60s 지나면 해소가 되는데

Deadlock이라도 걸려서 저 상태가 계속해서 지속되면 결국엔 CLOSE_WAIT이 쌓여서 사용 가능한 PORT를 전부 사용하게 될테고

서버가 행업이 됩니다.

저 상태에서 Server side가 close를 호출하지 못하면 CLOSE_WAIT은 자동으로 사라지지도 않습니다.

 

이것이 실제 production 환경에서 발생한다면

dead lock 걸린 부분을 찾아서 소스 코드를 수정하기 전까지는 

시스템 엔지니어는 주기적으로 CLOSE_WAIT 개수를 체크해서 서버 프로세스를 재시작해주면서 버티는 방법밖에는 없어보입니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3를 이용한 Tistory Authentication Code 방식 인증 (2020.09.01 변경사항 반영)  (2468) 2020.09.25
테넌트  (940) 2020.07.23
TCP 통계수치 변화 (장애 상황)  (1318) 2020.07.15
TCP 통계  (445) 2020.07.14
Kerberos Setup (KR)  (1401) 2019.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