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 248

코스트코의 심장, 1988년생 AS/400 이야기

온 세상을 밝히는 듯한 환한 조명 아래, 거대한 창고형 매장 코스트코는 오늘도 분주하게 돌아갑니다. 산더미처럼 쌓인 상품들 사이로 카트를 미는 사람들의 행렬은 끝이 보이지 않죠. 북미 대륙의 드넓은 평원부터 아시아의 활기찬 도시, 유럽의 유서 깊은 거리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수백 개의 매장에서 코스트코는 한결같은 모습으로 우리를 맞이합니다. 최첨단 POS 시스템과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이 매끄럽게 작동하는 현대적인 유통 제국의 전형처럼 보입니다.하지만 이 거대한 유통 공룡의 심장부, 그 복잡하고 방대한 상품들의 흐름을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아주 놀라운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바로 전 세계 모든 코스트코 매장의 재고를 책임지는 내부 전산 시스템이, 놀랍게도 1988년에 ..

엔지니어 2025.04.16

Cursor: 개발자를 위한 AI 코딩 도구 활용 가이드

Cursor는 지능형 기능과 원활한 워크플로우 통합을 통해 개발자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강력한 AI 지원 코딩 도구입니다. 다음은 Cursor 경험을 최대화하기 위한 종합 가이드입니다:계획 및 설정코딩에 뛰어들기 전에 적절한 계획은 Cursor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음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프로젝트 문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하세요:앱 목표, 사용자 흐름 및 기능을 설명하는 제품 요구 사항 문서(PRD)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색상 및 타이포그래피 가이드라인기술 스택 요약이러한 사양을 Cursor 프로젝트 내에 마크다운 파일로 저장하면 AI가 작업의 범위와 맥락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빈 캔버스에서 시작하기보다는 기본 구조적 요소로 시작하세요. UX Pilot, Bolt, Ma..

엔지니어 2025.04.13

누구나 시키는 일부터 시작했다

요즘 후배나 제자들한테 자주 하는 이야기가 있다.“성장에는 순서가 있다.”누구나 처음에는 시키는일을 하면서 시작한다.이게 첫걸음이다. 시킨 걸 열심히 따라가는 것.이건 태도다. ‘열심히 한다’는 말 안에 있는 진짜 의미는,눈빛으로 배우고,자세로 체득하고, 하나라도 놓치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이다.그 다음은 시키는 걸 ‘해내는’ 단계로 간다.그냥 따라만 가는 게 아니라,제 시간에, 제대로, 책임지고 끝내는 것.이게 ‘믿음’을 얻는 첫 계단이다.그 다음은 시키는 걸 ‘잘 해내는’ 단계.단순히 완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더 나은 결과를 고민하고,내가 만든 결과물에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여기서부터 ‘능력’이 보이기 시작한다.그 다음은 뭘까?시키는 것 이상으로 해내는 단계.이쯤 되면, 상사나..

엔지니어 2025.04.12

대량 트래픽과 분산 처리: 신화와 현실

예상되는 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해 복잡한 분산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 Microservices나 유사한 고급 아키텍처를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은 종종 현실보다는 신화에 가깝습니다. 최근 10년여 경험에 따르면, 하루에 수억 건의 호출을 처리하는 API조차도 Redis 캐싱이나 Load Balancing과 같은 비교적 간단하고 검증된 기술만으로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시기상조 분산 아키텍처의 유혹과 함정많은 개발팀이 Microservices 아키텍처가 모놀리식(Monolithic) 설계보다 우수하다고 여기며 매력을 느낍니다. 명확한 모듈 경계(특히 대규모 팀에 중요), 서비스 독립 배포 능력, 각기 다른 서비스에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 등 잠재적인 이점은 매우..

엔지니어 2025.04.10

AI의 새로운 연결 시대: Agent2Agent(A2A)와 Model Context Protocol(MCP)의 상호 보완적 역할

인공지능(AI)의 환경은 독립형 모델을 넘어서, AI 에이전트들이 서로 협력하고 디지털 세계와 점점 더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정교한 생태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작업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더 많은 AI 에이전트를 도입함에 따라, 표준화된 소통 및 통합 방식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핵심적인 개방형 프로토콜이 바로 Google이 주도하는 Agent2Agent(A2A) 프로토콜과 Anthropic이 소개한 Model Context Protocol(MCP)입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만, 서로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어 AI 상호운용성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습니다.Agent2Agent (A2A) Protocol: 에이..

엔지니어 2025.04.10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아키텍처 - 워커 노드 size 선택하기

kubernetes-node-size 선택하기https://learnk8s.io/kubernetes-node-size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아래 기법을 적용중이긴하나 다시 한번 읽어보니 재밌어서 남김.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할 때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어떤 유형의 워커 노드를 사용하고, 몇 개나 필요한가?"입니다. 즉, 더 적은 수의 대형 노드를 사용할지 아니면 더 많은 수의 소형 노드를 사용할지에 대한 선택이 필요합니다.클러스터 용량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개별 노드들을 하나의 큰 "슈퍼 노드"로 추상화합니다. 이 슈퍼 노드의 총 컴퓨팅 용량(CPU와 메모리)은 모든 구성 노드 용량의 합계입니다. 예를 들어, 총 8 CPU 코어와 32GB RAM이 필요한 클러스터를 구성할 때:4개의 작은 노드..

엔지니어 2025.04.10

끊임없는 선택과 책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삶

https://0x1.pt/2025/04/06/the-insanity-of-being-a-software-engineer/The Insanity of Being a Software EngineerIs something I think about often because I can’t help but wonder if most other jobs are like this.0x1.pt읽다보니 공감되서 따로 정리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광기: 끝없는 기술 습득의 미로오늘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살아간다는 것은 마치 끝없이 움직이는 타겟을 쫓는 것과 같다. 한 발자국 내딛을 때마다 목표 지점이 두 발자국 더 멀어지는 듯한 이 현실은 많은 개발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과연 다른 직업들도 이렇게 숨 가쁜 것일까? ..

엔지니어 2025.04.09

효율적인 IT 운영을 위한 9가지 통합 아키텍처

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환경에서 시스템 통합은 현대 기업 아키텍처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업들이 디지털 생태계를 연결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있는 9가지 기본 통합 패턴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시합니다.Peer-to-Peer: 직접 통신API Gateway: 통합 진입점Pub-Sub: 분리된 이벤트 배포Request-Response: 기본 패턴Event Sourcing: 히스토리 기록ETL: 데이터 변환 마스터리Batching: 규모에 맞는 효율적인 처리Streaming Processing: 실시간 인사이트Orchestration: 조정된 서비스 실행상호 연결된 기업: 사일로 해체하기현대 기업은 더 이상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고립된 시스템으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대신, 우리는 조직 경계를 넘어 ..

엔지니어 2025.04.08

디지털 세계의 주소체계: URI, URL, URN의

웹의 기초를 이루는 식별자들의 미묘한 차이와 그 중요성인터넷이라는 광활한 디지털 우주에서 우리는 매일 수많은 정보의 바다를 항해합니다. 그 여정에서 우리를 정확한 목적지로 안내하는 것은 바로 웹 주소 체계입니다. 하지만 이 주소 체계에는 URI, URL, URN이라는 세 가지 개념이 존재하며, 이들 간의 미묘한 차이점은 일반 사용자뿐 아니라 때로는 IT 전문가들조차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오늘은 이 디지털 세계의 주소체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며, 그 차이점과 중요성을 탐구해 보겠습니다.URI: 디지털 세계의 만능 식별자디지털 자원을 식별하는 가장 포괄적인 개념인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상의 모든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마치 우리 사회에서 주민등록번호..

엔지니어 2025.04.07

Meta가 Llama 4 모델 시리즈를 발표

Meta가 Llama 4 모델 시리즈를 발표했습니다. 이 새로운 모델들은 Llama 생태계를 위한 가장 발전된 모델 제품군으로, 개방형 가중치를 가진 최초의 네이티브 멀티모달 모델입니다. 주요 내용을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https://ai.meta.com/blog/llama-4-multimodal-intelligence/ The Llama 4 herd: The beginning of a new era of natively multimodal AI innovationPost-training a model with two trillion parameters was a significant challenge too that required us to completely overhaul and revamp..

엔지니어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