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흥미로운 투자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다. 흔히 ‘스타트업’이나 ‘테크기업’으로 대표되는 신사업이 아니라, 오히려 전통적이고 오래된 굴뚝 산업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한 세대 전만 해도 ‘구시대의 유물’처럼 여겨졌던 이런 산업들이, 다시금 젊은 사업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곧 은퇴를 앞둔 60대 이상의 오너가 운영 중인 작은 회사를 인수해, 여기에 인공지능(AI)과 최신 기술을 덧입히는 방식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Search Fund로 시작하는 인수 전략
눈여겨볼 점은 이들이 회사를 사들이는 방식이다. 막대한 자본을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서치펀드(Search Fund)’라는 투자 구조를 활용한다. 서치펀드는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회사를 물색하고, 인수 후 직접 경영까지 맡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 은행 대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젊은 사업가들이 투입하는 자기 자본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 자본을 더 많이 투입해 리스크를 감수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사업 성공 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굴뚝 산업이 다시 뜨는 이유

이들이 노리는 산업군은 대부분 오랫동안 변화 없이 이어져 온 전통 산업들이다. 크게 성장하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는, 그런 작은 기업들이 타깃이다. 예를 들어, 해충 방제 사업이나 쥐잡이 회사 같은 곳이 대표적이다. 지역 기반으로 오랫동안 영업해온 이런 회사들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지만, 기술 변화에는 뒤처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전통 산업이 가진 잠재력은 의외로 크다. 고객층은 이미 확보되어 있고, 안정적인 매출도 꾸준히 발생한다. 다만, 비효율적인 운영 구조와 아날로그 방식의 서비스가 문제일 뿐이다. 젊은 사업가들은 바로 이 지점을 파고든다.
AI와 IoT로 전통 산업을 업그레이드하다

가령, 쥐잡이 회사를 인수했다고 가정해보자. 기존 방식이라면 쥐덫을 설치하고 일정 주기로 현장을 방문해 사람이 직접 쥐가 잡혔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젊은 사업가는 여기에 센서와 IoT 기술을 도입한다. 쥐덫 하나하나에 센서를 부착하고, 이 센서가 쥐가 잡힌 순간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즉시 알림을 전송하게 만든다. 담당자는 사무실이나 외부에 있어도 휴대폰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들은 모든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해 웹사이트나 전용 앱에서 월별, 연도별 통계로 보여주는 시스템까지 구축한다. 고객사 담당자는 언제든 웹사이트에 로그인해 데이터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보고서 형태로 출력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복잡한 보고서 작성 과정 없이 클릭 한 번으로 보고서가 완성되니, 업무 효율성은 말할 것도 없이 높아진다.
작은 변화가 만드는 큰 가치
이런 시스템은 특히 소규모 공장이나 창고를 운영하는 중소기업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는다. 따로 전산팀이나 보고서를 작성해줄 인력이 없는 곳에서는 이 서비스 하나로 업무 부담을 크게 덜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런 변화는 기업의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고, 동시에 매출 증가와 사업 확장으로도 이어진다.
기술 하나만 잘 얹어도 기업의 가치가 달라진다는 걸 이들은 잘 알고 있다. 결국 젊은 사업가들의 손에 들어간 작은 전통 산업 기업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결국, 땀 흘린 사람만이 얻는다
물론 이런 전략이 결코 쉽지는 않다. 책상 앞에서 숫자만 들여다보는 투자가 아니라, 직접 현장을 뛰어다니며 산업 구조를 이해하고, 기술 접목 가능성을 하나하나 따져야 하는 고된 작업이다. 사람과 부딪히고, 낡은 시스템과 싸우며, 직접 바꿔가야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이런 점이 이 투자 모델의 매력일지도 모른다. 단순한 금융 게임이 아니라, 실제로 ‘땀 흘려’ 변화시켜야만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의 그늘: 퇴직 후 실패한 창업자들의 이야기 (배낀글) (2) | 2025.03.25 |
---|---|
개발자의 미래, 두 갈래 길에 서다 (0) | 2025.03.25 |
거리의 경영학 박사, 붕어빵 할아버지의 숨겨진 비즈니스 전략 (0) | 2025.03.24 |
한국 IT 업계의 새로운 물결: 인도 개발자 채용 현황과 미래 전망 (0) | 2025.03.24 |
스타벅스에서 시작된 한 창업가의 변화와 성공 스토리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