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참존화장품 경영철학 "주가 쓰시겠다 하라"

Nj 2025. 4. 13. 17:25

김광석 참존화장품 회장은

주가(God) 쓰시겠다 하라


라는 신앙적 모토를 바탕으로 기업을 경영해왔습니다. 이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그의 경영철학과 삶의 방식에 깊이 뿌리내린 신념으로, 여러 증거와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광석 회장의 신앙 기반 경영철학


김광석 회장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제가 괜찮은 청지기여서 그렇겠죠. 너한테는 물질을 맡겨도 괜찮겠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며, 자신은 참존의 진정한 주인이 아니라 하나님의 청지기일 뿐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야말로 참존 화장품 회사의 사장이요, 자신은 지배인에 불과하다"고 고백했습니다.

이러한 신앙적 경영철학은 다음과 같은 증거들을 통해 확인됩니다:

저서 "주가 쓰시겠다 하라"


김광석 회장은 자신의 신앙과 경영철학을 담은 책 "주가 쓰시겠다 하라"를 출판했습니다. 이 책의 제목은 마태복음 21장 2~3절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누가 무슨 말을 하거든 주가 쓰시겠다 하라"라는 성경 구절에 기반합니다. 이 책에서 그는 "주님은 물질뿐만 아니라 생명의 주인이십니다. 주께서 쓰시겠다고 하시니, 그저 순종할 뿐입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참존 사옥의 성경 구절


참존 사옥에는 십자가와 함께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말라기 3:10)


라는 성경 구절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김 회장이 기업 경영에 있어 하나님을 중심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물리적 증거입니다.

신앙에 기반한 제품 개발과 경영 사례


기도를 통한 제품 개발


김광석 회장은 참존의 독특한 제품과 아이디어가 기도하는 가운데 하나님이 주신 지혜에서 비롯됐다고 말했습니다. "돌이켜보면 대략 7년 주기로 좋은 제품을 하나씩 주셨습니다. 최근에 만든 참인셀이라는 고가 화장품 라인도 그렇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그는 "클린싱 워터를 우리가 처음 만들었습니다... 참존이 콘트롤크림을 개발한 뒤 마사지크림이라는 이름이 업계에서 거의 사라졌어요"라며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 신앙에 기반했음을 강조했습니다.

십일조를 넘어선 나눔 실천


김광석 회장은 사업 초창기부터 '하나님을 시험하기 위해' 매출의 10%를 넘어 '10의 2조'(20%)를 헌금했습니다. 이는 그가 회사의 수익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이라는 신념을 실천한 증거입니다.

"매주 월요일이면 그의 비서실은 단체, 개척교회 등 20여 군데가 넘는 곳에 후원금을 보내는 일로 분주하다. 이일은 벌써 10년째 계속되고 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일상적인 신앙 생활과 경영 연결


김광석 회장은 "매일 새벽에 일어나 두 시간 동안 먼저 하나님께 기도드리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응답을 매일 적는다"고 밝혔습니다. 이 습관은 10년 가까이 하루도 빠짐없이 지속되었으며, 그의 책장에는 이러한 신앙의 기록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참존 설립의 신앙적 배경


김광석 회장의 "주가 쓰시겠다"는 신념은 참존 화장품 설립 과정에서도 분명히 드러납니다. 그는 1984년 꿈에서 "너의 양식을 재겠어"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은 후 용기를 내어 화장품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이전에 불교 신자였던 그는 도피 생활 중 절에서 극적으로 하나님을 만난 후, 자수하고 신앙인으로 변화했습니다. 이후 "기도 중에 아이디어를 얻어" 참존 화장품을 창업했으며, 이는 "하나님이 쓰시는" 기업이라는 신념으로 경영해왔습니다.

결론적으로, 김광석 회장의 "주님이 쓰신다"는 경영철학은 그의 저서, 인터뷰, 사옥의 물리적 증거, 그리고 실제 경영 방식과 나눔 실천을 통해 명확히 확인됩니다. 이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참존 화장품의 설립과 성장 과정 전반에 걸쳐 실천되어 온 핵심 가치입니다.



참존 화장품: 한국 뷰티 산업의 선구자적 기업 분석


참존 화장품은 1984년 설립된 한국의 대표적인 기초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K-뷰티의 선구자로서 국내외 화장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참존 화장품의 역사부터 최근 경영 전략까지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이 기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회사 개요 및 역사적 발전

창업과 초기 성장

참존 화장품은 성균관대 약대를 졸업한 김광석 회장이 1984년에 창업한 화장품 회사입니다. 초기에는 '부한화장품'이라는 회사명을 사용했으나, 1993년에 당시 인기를 끌었던 제품 브랜드인 '참존'을 기업명으로 채택하면서 기업 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했습니다. 창업 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창업 3년 만에 손익분기점을 넘어섰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국내 10위권 안에 드는 중견 화장품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전성기와 위기, 그리고 재도약

1990년대 참존은 '화장품 명가'로 불리며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특히 1994년에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최초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내 면세품으로 선정되며 큰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실적이 하락했습니다. 2001년 1384억 원이었던 매출은 2000년대 후반 500억대로 주저앉았고, 10%대였던 시장점유율도 1%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이후 참존은 해외 시장 개척과 제품력 강화를 통해 재도약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경영 철학과 비전


그린 프로그 스피릿 (Green Frog Spirit)


참존은 "We will not make it if it is not different"(다르지 않으면 만들지 않는다)라는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제품 개발부터 광고,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새로운 도전을 추구해왔습니다. 이러한 "그린 프로그 스피릿"은 자사 제품에 대한 자부심과 품질에 대한 확신에서 비롯된 것으로, 참존이 누구에게나 자신 있게 추천할 수 있는 "명작(masterpieces)"을 만들고자 하는 열정을 반영합니다.

글로벌 비전과 가치

참존의 비전은 "BEAUTY & SCIENCE Global Charmzone"으로, 미(美)와 과학을 결합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글로벌 소비자를 위한 영원한 아름다움의 추구"라는 미션과 함께 "고객 가치의 럭셔리 마인드셋에 대한 믿음"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참존은 일회성 마케팅 이벤트보다는 고객에게 직접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지속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제품 라인과 브랜드 포트폴리오

주요 브랜드와 제품군

참존은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브랜드로는 '디에이지', '참인셀', '탑클래스', '비건 파인'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색조 화장품 및 헬스케어 제품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군으로는 지이 EX 골드 트러플 시리즈, 탑클래스 리프팅 라인, 인진쑥 로션, 스카이맨 하이엔드 옴므(남성 화장품), 징코 내츄럴 클렌징, 마유 크림 등이 있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

참존의 대표적인 프리미엄 브랜드인 'Charm In Cell'은 특허받은 Tocovita C(지용성 토코페롤과 수용성 비타민 C의 조합)를 함유한 제품으로, 중국 주요 항공사에서 판매되는 주력 제품이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탑클래스 어드밴스드 리프팅 시리즈와 디에이지 골드 에디션과 같은 프리미엄 라인을 통해 고급 화장품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

참존기술원의 구성과 역할

참존은 자체 R&D센터와 생산라인을 보유한 국내 몇 안 되는 화장품기업 중 하나로, 30년간 세계적으로 품질력을 인정받아왔습니다. 2016년에는 서울 본사에 참존기술원 산하 융합화장품 연구소를 신설하며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이 연구소는 기초제품과 기능성 소재, 이종산업의 기술력을 융합하는 '융합연구소'와 기초화장품을 개발하는 '화장품 연구소'로 나뉘어 운영됩니다.

연구개발 투자와 성과

참존은 전체 매출액의 10% 이상을 제품 개발(R&D) 비용에 투자하며, 제품 품질 향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주에 위치한 화장품분석 연구소는 신소재를 개발하는 '생물소재 연구소'와 피부 노화 방지를 연구하는 '응용 연구소'로 운영되어 다양한 방면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개발 노력의 결과로 2015년에는 화장품 국제기준 인증 'ISO22716'을 획득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글로벌 진출 전략과 성과

해외 시장 진출 역사

참존은 1987년 미국 시카고와 하와이에 첫 진출한 이후, 1991년에는 일본 후생성의 판매허가를 국내 최초로 획득하며 일본 화장품 시장에 국산 화장품을 상륙시키는 개가를 올렸습니다. 중국에는 1994년에 진출했으며, 현재는 일본, 미국, 중국을 비롯해 말레이시아, 홍콩, 체코,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몽골 등 세계 2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해외 시장 전략

중국 시장에서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7개 법인이 다양한 도시로 영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화장품 전문점, 백화점, 면세점 등 다양한 판매 경로를 통해 고객의 쇼핑 편의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주요 4개 항공사(에어차이나, 차이나 사우스 에어라인, 차이나 이스턴 에어라인, 차이나 하이난 에어라인)에 기내 면세품으로 8개 품목을 공급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도쿄 직영점, 도심 백화점, 드럭스토어, 온라인 쇼핑몰, TV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겨냥하고 일본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여 견고한 시장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3년 중국 언론 신광망(新光網)이 선정한 'K-뷰티 톱7'에서 1위로 선정되었으며, 아모레퍼시픽이 2위, LG생활건강의 이자녹스가 3위를 차지했습니다.

마케팅 전략의 특징

샘플 전략과 품질 우선주의

참존의 독특한 마케팅 전략 중 하나는 '샘플 전략'입니다. 브랜드 이미지나 제품 광고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대신, 샘플을 대량으로 배포하여 소비자가 직접 제품의 품질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샘플만 써봐도 알아요"라는 캐치프레이즈는 창업주 김광석 회장의 독특한 아이디어로, 제품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합니다.

옴니채널 접근과 타겟 마케팅

최근 참존은 전문점, 시판, 방판, 통판, 마트, 백화점, 약국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 맞는 제품과 전략으로 특화하여 시장의 상호 잠식을 방지하고 각 채널에서 최대 효과를 창출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홈쇼핑 채널을 활용하여 30-40대 이상 주부층을 공략하고 있으며, "엄마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살려 주부 시장에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해외 마케팅 강화

해외 마케팅에서는 교포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및 홍보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현지시장 공략의 교두보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과 중국에서는 현지 소비자의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영 상황 및 미래 전략

재무 상황과 도전 과제

2022년 참존의 재무 결과에 따르면, 매출은 907.21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6,829.57백만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전년은 12,180.2백만 원의 순이익). 이러한 실적 하락은 회사가 직면한 도전 과제를 보여주며, 실적 반등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신규 사업 전략과 회복 노력

참존은 2023년 화장품 소재 전문기업 엔에프씨와 33억원 규모의 스킨케어 화장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신규 제품 라인을 확대했습니다. 스틱 제품을 비롯해 총 20종의 기초 스킨케어 라인을 새롭게 출시하여 실적 반등을 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과 중국 등 해외 시장에 글로벌 브랜드를 적극 진출시키고 신규 매출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래 성장 방향

참존은 기초 화장품을 중심으로 색조 화장품 및 헬스케어 제품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는 중국, 미국 등지의 현지 생산시설 구축을 검토하며,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을 통해 K-뷰티의 선구자로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결론


참존 화장품은 1984년 창립 이후 한국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대표적인 기초화장품 전문 기업입니다. 기업의 역사는 전성기와 위기, 그리고 재도약의 과정을 거쳐왔으며, 특히 해외 시장에서의 확장과 제품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차별화"와 "품질 우선주의"라는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다양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최근에는 경영 실적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신규 제품 라인 출시와 해외 시장 확대, 그리고 옴니채널 마케팅 전략을 통해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존이 K-뷰티의 선구자로서 가진 역사적 의미와 기술력,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지도는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변화하는 화장품 시장 환경 속에서 참존이 어떻게 기존의 강점을 살리며 새로운 도전에 적응해 나갈지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반응형